클라우드 서비스 모델 정리

클라우드 서비스 모델을 공부한 내용을 기록해봅니다.

아래는 가장 이해하는 데에 도움이 되었던 이미지.

IAAS ( Infrastructure as A Service )

PAAS ( Platform as A Service )

SAAS ( Software as A Service )


2021.01.17. 추가

CAAS (Container as a service)

리눅스 컨테이너 기반의 PAAS 를 의미한다. 도커 기반의 MSA 구성이 흔해지자 나타난 마케팅 용어이다. 사실 애초에 PAAS 구성을 하다 보면 도커 컨테이너 기반으로도 구성이 가능한 걸 쉽게 볼수 있는데, CAAS 와 겹치는 부분을 생각해보면 말그대로 마케팅 용어이다.

FAAS (Function as a service)

역시 MSA 의 영향으로 서버리스 아키텍처가 널리 전파되자 생겨난 신규 솔루션이다. 서버리스는 비지니스 로직을 제외한 모든 구성을 프리저버닝 해줄테니 당신은 비지니스 로직만 작성해서 주십시오 란 컨셉이다. Azure 에는 함수앱(logic app) 이라는 이름으로, aws 에는 람다 함수라는 이름으로 서비스 되고 있다. 필자는 azure 기반에 자바 한정으로 경험했었다. 특정한 인터페이스의 추상 메소드를 구현하거나 특정 어노테이션을 선언해서 인터페이스를 MS SDK 가 직접 구성 하도록 하게 하면 된다. 그리고 이 코드 블럭(클래스)을 azure 상에 업로드하면 로직 앱 구성이 끝이난다. 기본적으로 웹 서버 기반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로컬 테스트 웹서버를 띄우는 테스트 구성도 가능하다.